인쇄 기사스크랩 [제615호]2009-06-19 15:44

워킹홀리데이, 체결만 하면 ‘끝’

프랑스 독일 등 협정 체결 이후 움직임 없어

관광시장 확대에 기여 못할 듯, 부정적 의견 많아

당초 양국 간 교류 확대 및 관광객 증가가 기대됐던 프랑스ㆍ독일과의 워킹홀리데이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수의 관광청 관계자들은 워킹홀리데이가 관광과 학업을 병행하며 연수 경험을 쌓고, 후에 체험자가 체험국의 잠재 고객이 될 수 있어 시장 확대의 가능성은 높다고 말한다. 그러나 프랑스와 독일은 영어보다 자국어의 쓰임새가 많고 거주하는 한인수도 적으며 아르바이트 형태의 일자리를 찾는 일이 호주나 뉴질랜드처럼 쉽지 않아 성사 초기부터 많은 약점들이 노출돼 왔다.

지난 2008년 10월 한국과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협정을 체결한 프랑스는 그해 말까지 정식 프로그램을 발효하고 이르면 올 1월부터 연간 2천명에 달하는 인원이 프랑스를 찾을 것이라고 호언한 바 있다. 그러나 협정 체결 후 약 8개월이 흐른 지금 프랑스로 몇 명의 인원이 이동했는지, 실제 일을 하면서 학업을 병행한 사례가 있는지에 대한 자료는 좀처럼 찾기가 힘들다. 더욱이 프랑스 워킹홀리데이를 책임지는 명확한 기관과 담당자가 없다는 점도 문제점. 실제 취재를 위해 주한프랑스대사관부터 프랑스대사관 교육진흥원, 외교통상부 등 많은 기관을 거쳤지만 뚜렷한 입장과 이야기는 들을 수 없었다.

이와 관련, 정혜원 프랑스정부관광성 한국지사 실장은 “워킹홀리데이 체결 이후 프랑스 현지에서 이를 위한 특별한 인프라나 전략을 마련했다는 소식은 아직 듣지 못했다”면서 “멀게 본다면 관광 시장 뿐만 아니라 양국 간 순수 교류 확대를 위한 긍정적인 일이지만 다소 급하게 추진된 것 같다”는 객관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독일 워킹홀리데이 또한 사정은 마찬가지. 지난 5월19일 양국 외교통상부 차관들이 자리한 가운데 ‘한·독 워킹홀리데이 공동성명’에 서명하고 프로그램 가입을 발표했지만 한국의 젊은이들이 과연 워킹홀리데이 목적지로 독일을 선호할까라는 의구심마저 든다. 호주나 뉴질랜드와 달리 한국에 알려져 있는 도시와 여행정보도 한정돼 있고 관광청이나 대사관의 존재도 미약해 준비단계에서부터 문턱에 부딪칠 것이라는 우려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이 어렵게 맺은 워킹홀리데이가 긍정적인 효과를 보기 전, 결국 비슷비슷한 어학원과 대행 여행사만을 양성하고 이들의 단기 수익을 위해 젊은 여행객들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속출할 것이라며 체결 뿐만이 아니라 좀 더 철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문주 기자 titnews@ch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