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기사스크랩 [제1192호]2022-11-15 10:38

빅데이터로 지역의 관광 활성화 수준을 진단할 수 있을까?
 
한국관광공사, 관광 빅데이터 기반 지역 관광 활성화 지수 분석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는 관광 빅데이터(이동통신, 카드 소비, 내비게이션 등)를 기반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 수준 진단에 최적화된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기초지자체별 관광 활성화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지역 관광 활성화 지수를 발표했다.
 
지역 관광활성화 지수는 ‘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 보유하고 있는 관광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관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종합 반영한 단일지수이다. 각 주요 요인간 상관성에 기반한 가중치를 통해 산출되었으며 250개 지자체는 지역 관광 활성화 수준에 대한 추세 및 주요 요인별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관광 활성화는 방문객의 숙박, 외식, 쇼핑, 관광 서비스 이용 등 관광 관련 활동을 통해 관광산업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정도 및 성과로 이어지는 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주요 요인은 내국인 방문자수(성별×연령별, 거리별), 외국인 방문자수(국적별), 관광 목적지 검색 건수, 업종별 관광지출금액, 숙박일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분석 대상 지자체는 기초지자체 226개, 행정시(제주시·서귀포·세종시) 3개, 고양·성남·수원·안산·안양·용인·전주·창원·천안·청주·포항시 등 11개 기초지자체는 하위 행정구(32개)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관광 수요자 중심의 이종 빅데이터 간 융합 분석 시도
  
선행 연구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으며, 다양한 빅데이터 간 융합 분석을 통해 도출한 단일 지수로 지역 관광 활성화 수준을 진단하는 유일한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기초지자체별로 지역의 관광 활성화 수준을 월별로 파악하고, 64개 주요 요인별로 타 지자체와 대비 상대적인 우위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대응에 활용할 수 있다. 향후 빅데이터 기반 분석 모형의 고도화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지역의 관광 활성화 대응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되고 있는 지역 관광 활성화 수준
 
관광 활성화 수준은 백신 보급 이후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회복되고 있는 중이다. 실제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연도인 지난 2019년(2019년 1월~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연도인 2020년(2020년 2월~2021년 2월)과 백신 보급 연도인 2021년(2021년 3월~2021년 12월)에 대하여 17개 시·도간 관광 활성화 지수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2021년, 2020년 순으로 나타나 백신 보급 이후 코로나19 발생 이전 시기로 관광 활성화 지수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각 시·도마다 차이는 있지만 모든 시·도에서 일치했다. 특히 제주는 지난 2019년 대비 2020년 감소(99.97→88.79)했으나 2021년에는 99.60으로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기반의 지역관광 의사 결정 가능
지자체별 관광 활성화 수준 진단 및 주요 요인 간 비교 가능
  
지역 관광 활성화 지수를 통해 관광 빅데이터 주요 요인이 지역 관광 활성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의 지역관광 의사 결정 지원과 각 지자체별 관광 활성화 수준 진단 및 주요 요인 간 비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난 2020년 1월 관광 활성화 지수가 95.7인 A 시·군·구의 경우 타 시·군·구 대비 상대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지수 범위 100~0), 관광 활성화 지수의 7개 세부 지표와 이를 구성하는 64개 하위 지표 값을 살펴본 결과, ‘20대 남성 방문’ 지표 값이 99.8로 타 시·군·구 대비 상대적 수준이 매우 높고, A 시·군·구의 관광 활성화 수준에 큰 긍정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관광 관심도’ 지표 값은 34.6으로 관광 활성화 지수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임에 따라 자연관광 콘텐츠 개선 및 홍보 강화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시·도·군에서는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상대적 우위 요인은 지속 강화하고, 열위 요인들을 개선하는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에서는 한국관광 데이터랩(datalab.visitkorea.or.kr)에서 지난 11월 14일부터 지역별 관광 활성화 지수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각화 서비스인 지역관광진단과 함께 빅데이터 기반 지역 관광 활성화 AI 진단 체계 구축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관광 활성화 지수는 여러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단일지수인 반면, 지역관광 진단은 방문자 유입, 숙박 방문자 비율, 체류시간, 검색량, 관광소비의 다섯 개 개별 지표에 대한 전년 대비 증감률 및 광역/기초지자체별 순위를 개별적으로 확인 가능하다.